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핫 이슈/고양이손 경제 이슈

트럼프 관세 위협에 ECB 금리인하, 유럽 경제 전망은?

by 고양이손1010 2025. 4. 18.
반응형

트럼프 관세
트럼프 관세 ECB 금리인하

 

유럽 경제 전망! 금리 인하, 관세, 경기침체 어디로 가나?

유럽 경제가 다시 한 번 중대한 변곡점에 서 있습니다.

유럽중앙은행(ECB)은 기준금리를 2.25%로 전격 인하하며 6월 이후 무려 여섯 번째 금리 인하를 단행했습니다.

이번 결정은 단순한 통화정책 조정이 아니라 유로존을 둘러싼 복합적인 위기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압박, 경기 침체 조짐, 그리고 디스인플레이션을 동시에 고려한 전략적 대응입니다.

지금 유럽 경제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앞으로 어떤 변화가 예상되는지 하나씩 짚어보겠습니다.

 

ECB, 기준금리 2.25%로 추가 인하 — 시장은 더 큰 인하도 기대

 

ECB는 25bp(0.25%p) 인하를 단행해 기준금리를 2.25%로 낮췄습니다.

이는 6월 이후 벌써 6번째 연속 인하로 그만큼 ECB가 경제 성장 둔화글로벌 무역 긴장에 깊은 우려를 품고 있다는 방증입니다.

 

ECB의 메시지 요약

  • 무역 환경 불확실성 → 경기 하방 위험 확대
  • 디스인플레이션 → 정책 여유 확보
  •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 → 시장 선반영
트럼프발 관세 폭탄! 유럽 경제에 직접 타격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 정책은 유럽 경제에 큰 먹구름을 드리우고 있습니다.

특히 유럽 수출품에 대한 20% 관세 도입 시 유로존 GDP는 연간 0.2~0.3%p 감소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더 극단적인 경우에는 2026년 1분기까지 무려 1.7%p 감소 가능성까지 경고되고 있습니다.

 

자동차 산업 직격탄

  • 현재 관세 2.5% → 최대 25%까지 인상될 위험
  • 독일, 네덜란드 등 무역의존형 경제가 가장 큰 타격 예상.

참고!

유로존의 미국 수출은 연간 4,600억 유로 규모 이는 유로존 GDP의 약 4%를 차지합니다.

만약 보편적 10% 관세가 부과된다면 미국향 수출은 최대 1/3 감소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습니다.

 

유로존 경기, 침체 경고등 점등

 

이미 경기 둔화 신호는 명확합니다.

  • 2024년 4분기 GDP 성장률 0%
  • 독일, 프랑스 — 유로존 경제를 떠받치는 두 거인이 경기 위축
  • 제조업 회복 부진, 서비스업도 반등 한계

여기에 정치적 불확실성까지 겹치면서 기업 투자와 소비자 심리가 급격히 위축되고 있습니다.

ECB는 이러한 흐름을 인정하며 "전망이 여전히 매우 불투명하다"고 평가했습니다.

 

디스인플레이션 진행, 하지만 서비스 인플레이션은 '고집'

 

금리 인하의 또 다른 배경은 인플레이션의 진정세입니다.

시점 헤드라인 인플레이션 근원 인플레이션

시점 헤드라인 인플레이선 근원 인플레이션
2025년 3월 2.2% 2.4%

 

이처럼 인플레이션은 완만하게 안정되고 있으며 ECB는 "디스인플레이션 경로가 순조롭게 진행 중"이라고 평가했습니다.

하지만 서비스 부문은 여전히 완고합니다.

  • 2024년 8월: 서비스 인플레이션 4.2%
  • 고용 및 임금 인상 효과가 지연되며 가격 압력이 장기화.

이자벨 슈나벨 ECB 집행이사회 위원은 "서비스 물가의 경직성은 유로존 경제 회복을 더디게 만들고 있다"고 경고했으며 특히 임금 전가 지연과 고용시장 회복이 이 현상의 핵심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앞으로 유럽 경제는 어떻게 될까?

 

ECB의 금리 인하는 경기침체와 무역충격에 대한 보험성 대응입니다.
하지만 정책만으로 모든 불확실성을 제거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긍정적 시나리오

  • 무역협상 타결 → 관세 위협 완화
  • 인플레이션 안정 → 금리 추가 인하 여력 확보
  • 서비스 인플레이션 하락 → 소비자 신뢰 회복

부정적 시나리오

  • 트럼프발 관세 부과 → 실물 경제 충격 심화
  • 독일·프랑스 경기 부진 장기화 → 유로존 침체 확산
  • 금리 인하에도 경기 회복 지연 → 정책 효과 제한적

 

 

ECB의 이번 결정은 단순한 금리 인하가 아닙니다.
관세 위협, 경기 침체, 디스인플레이션이라는 세 가지 문제를 동시다발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입니다.

시장은 앞으로도 금리 추가 인하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유로존 경제는 미국의 무역정책과 글로벌 경기 흐름에 따라 또 한 번 방향이 크게 바뀔 가능성이 큽니다.

글로벌 투자자, 경제 관찰자라면 지금 유럽 경제의 흐름을 절대 놓쳐서는 안 될 시점입니다.

 

 

2025.03.21 - [오늘의 핫 이슈/고양이손 경제 이슈] - 트럼프 대통령의 교육부 폐쇄 추진 이유

 

트럼프 대통령의 교육부 폐쇄 추진 이유

트럼프 대통령의 교육부 폐쇄 추진: 그 배경과 이유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025년 3월 20일(현지시간) 연방 교육부를 해체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트럼프가 교육부 폐지를 주장하는 이유

cat1010.cathand1010.com

 

반응형